bluay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bluay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55)
    • Log.Math (1)
      • 선형대수학 (1)
    • Log.Develop (54)
      • DB (3)
      • PS (1)
      • Retrospection (10)
      • JS&TS (4)
      • SpringBoot (3)
      • Node.js (2)
      • Other (5)
      • DevOps (8)
      • Architecture&Design (4)
      • Culture (5)
      • DDIA (9)

검색 레이어

bluay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Log.Develop/DevOps

  • [Kubernetes] 5. Service

    2021.07.05 by bluayer

  • 5분 59초만에 InfluxDB + Grafana를 EC2 Instance 위에서 연동하기

    2021.07.01 by bluayer

  • 9분 59초 만에 Github Action + AWS Elastic Beanstalk로 TS 프로젝트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2021.06.30 by bluayer

  • InfluxDB & Grafana 연결 문제 해결 (Bad Gateway, Bad Request, Error reading InfluxDB)

    2021.06.24 by bluayer

  • [Kubernetes] 4. LivenessProbe, ReplicationController, ReplicaSet, DaemonSet, Job, CronJob

    2021.03.29 by bluayer

  • [Kubernetes] 3. Pod(파드)

    2021.03.24 by bluayer

  • [Kubernetes] 1&2. Basic of Docker & K8S

    2021.03.24 by bluayer

  • Amplify로 React 프로젝트 쉽고 빠르게 배포하기

    2021.02.16 by bluayer

[Kubernetes] 5. Service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챕터별 내용들을 정리하여 시리즈로 발행 중이다. 따라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이 포함되어 있다. 이전 글 https://hack-jam.tistory.com/43 [Kubernetes] 4. LivenessProbe, ReplicationController, ReplicaSet, DaemonSet, Job, CronJob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챕터별 내용들을 정리하여 시리즈로 발행 중이다. 따라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이 포 bluayer.com 목차 Why we needs Se..

Log.Develop/DevOps 2021. 7. 5. 17:05

5분 59초만에 InfluxDB + Grafana를 EC2 Instance 위에서 연동하기

서론 환경설정에 앞서, 본 문서는 Amazon Linux 2 AMI 기반 인스턴스에서 환경설정한 것을 바탕으로 쓰여졌음을 알린다. 또한 InfluxDB는 2.0.7 버전을 바탕으로 쓰여졌음을 밝힌다. 필자는 왜 InfluxDB + Grafana 조합을 선택했는가? 원래 필자가 고려했던 스택은 Prometheus + Grafana 조합이었다. Prometheus의 경우 Metric(지표)을 Polling하는 방식이다. 당연히 서비스가 여러 개로 늘면 Service Discovery가 필요하게 된다. 프로메테우스가 인스턴스들의 고정된 IP를 알고 있거나, 혹은 k8s처럼 프로메테우스에서 SD를 지원해주거나 Service Discovery를 위한 설계가 있지 않다면 사용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

Log.Develop/DevOps 2021. 7. 1. 15:43

9분 59초 만에 Github Action + AWS Elastic Beanstalk로 TS 프로젝트 CI/CD 파이프라인 구축하기

서론 AWS는 가끔 버전에 따른 이슈가 발생하기 때문에 참고만 해주세요! 필자는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Github Action을 CI/CD 툴로 이용하고 있다. 그 이유는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서비스(Travis CI 등등)도 사용할 수 있겠지만, 해당 파이프라인이 실패할 경우 바로 GIthub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상당히 간편하다고 생각했다. (물론 메일도 온다) 또한 배포 후 관리를 위한 툴로는 AWS Elastic Beanstalk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AWS Elastic Beanstalk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완전 관리형이기 때문에 초반 세팅만 잘 해준다면 어지간해서 손을 댈 부분이 없다. 진짜 자동으로 뚝딱 환경을 만들어준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이 직..

Log.Develop/DevOps 2021. 6. 30. 23:26

InfluxDB & Grafana 연결 문제 해결 (Bad Gateway, Bad Request, Error reading InfluxDB)

서론 필자는 사내에서 InfluxDB로 시계열 데이터를 수집하고, Grafana로 해당 대쉬보드를 만드는 업무를 맡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InfluxDB와 Grafana를 연결하는 태스크가 있었는데, 해당 업무를 진행하던 중 겪었던 어이없던 이슈를 소개하고자 한다. 빠른 체크리스트 독자 여러분을 위해 빠른 체크리스트를 작성해봤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이것부터 빠르게 훑어보자. (InfluxDB에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URL의 포트가 8086인가? (InfluxDB에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URL의 prefix가 http인가? (InfluxDB 버전이 1.x가 아니라면) Query Language로 Flux를 설정했는가? InfluxDB Details에 Organization과 Token ..

Log.Develop/DevOps 2021. 6. 24. 16:17

[Kubernetes] 4. LivenessProbe, ReplicationController, ReplicaSet, DaemonSet, Job, CronJob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챕터별 내용들을 정리하여 시리즈로 발행 중이다. 따라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이 포함되어 있다. 이전 글 2021.03.24 - [Log.Develop/DevOps] - [Kubernetes] 2. Pod(파드) [Kubernetes] 2. Pod(파드)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챕터별 내용들을 정리하여 시리즈로 발행 중이다. 따라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이 bluayer.com 목차 Pod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Liveness Probe? Make and Run Liveness..

Log.Develop/DevOps 2021. 3. 29. 10:32

[Kubernetes] 3. Pod(파드)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챕터별 내용들을 정리하여 시리즈로 발행 중이다. 따라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이 포함되어 있다. 이전 글 2021.03.24 - [Log.Develop/DevOps] - [Kubernetes] Chapter 1 ~ 2. Docker & K8S [Kubernetes] Chapter 1 ~ 2. Docker & K8S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앞으로 챕터별 내용들을 묶어 시리즈로 발행할 예정이다. 또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 hack-jam.tistory.com 다음 글 2021.0..

Log.Develop/DevOps 2021. 3. 24. 14:19

[Kubernetes] 1&2. Basic of Docker & K8S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챕터별 내용들을 정리하여 시리즈로 발행 중이다. 따라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석이 포함되어 있다. 다음 글 2021.03.24 - [Log.Develop/DevOps] - [Kubernetes] Chapter 3. Pod(파드) [Kubernetes] Chapter 3. Pod(파드) 서론 본 글은 마르코 룩샤의 `Kubernetes in Action` 책을 기반으로 쓰였으며, 앞으로 챕터별 내용들을 묶어 시리즈로 발행할 예정이다. 또한 책 내용의 일부가 요약되어 있으며, 필자의 추가적인 해 hack-jam.tistory.com MSA와 K8S 참고로 k8s는 Kubernetes를 ..

Log.Develop/DevOps 2021. 3. 24. 14:08

Amplify로 React 프로젝트 쉽고 빠르게 배포하기

서론 평화롭게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던 어느 날... 우리 팀이 사놓은 도메인에 API 서버는 연결되어 있었으나, React로 만든 프론트엔드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았음을 문득 깨달았다. '아 이걸 어떻게 하지?'라는 고민을 하다가 일단 임시방편으로 맨 처음에는 단순하게 webpack dev server로 API 서버 안에 함께 띄워서 nginx를 통해 라우팅을 다르게 주었다. 그러나 곧 이 방법의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는데... 한 EC2에 API 서버와 React를 함께 띄웠을 때의 문제점 이 방법의 문제점은 여러가지가 있었다. nginx를 사용해서 들어오는 URL path에 따라 구분을 하기 위해서 서버 API 경로에 /api라는 경로가 붙었다. 물론 취향의 차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프론트엔드..

Log.Develop/DevOps 2021. 2. 16. 12:26

추가 정보

05-09 00:42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Github
bluayer © bluaye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